음 HTML 카테고리에 그래도 기본적인 태그를 모두 소개한거 같아서 기분이 굉장히 좋습니다.
물론 아직도 더 많은 태그들을 소개할 수 있고 중간중간에 추가로 게시글을 작성할 것 같지만, 일단은 CSS 카테고리를 시작하게 된 것은 단순 HTML만으로 작성된 코드로 출력값을 보고 확인을 하기에는 어느정도 한계에 다가왔다 생각을 해서입니다.
어느정도 웹페이지에서 문서를 만들고 페이지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인 HTML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생각했고 단순 HTML로만 출력되는 화면으로는 '이게 우리가 보고 있는 웹페이지가 맞아?'라는 의문이 들 시점이라 생각해서 사용자에게 좀 더 풍성하게 웹페이지의 시각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CSS를 같이 병행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해서 카테고리를 이 시점에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CS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CSS란?
"그러면 왜 CSS 언어가 나온 것인가?"아마 이 질문이 우선시 되었어야 될 것 같은데, 멀쩡한 HTML 언어를 사용하다가 '왜 갑자기 CSS 라는 언어를 새로 만들어서 사용중인가?' 라는 의문이 드실 수 있을 것입니다.
과거의 저를 포함해서 개발자라는 '종족'들은 '극한의 효율성'을 따지는 종족입니다.
즉, 어떤 조건들 보다 업무의 효율성 또는 편리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모든 방법을 강구하는 사람들이라는 것이죠.
이런 개발자들은 웹페이지를 개발하기 위해 HTML을 사용하면서 조금씩 욕심들이 생겨나가게 됩니다.
단순 정보 전달용으로 웹 문서를 만들고 공유했는데, 조금 더 시각적으로 사용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가야된다는 사실을 인지한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선택지는 2가지가 있습니다.
과연 어떤 선택지를 선택했을까요?
당연하게 처음에 "기존 HTML에 디자인적 요소를 담당하는 태그를 추가하는 것"을 선택했습니다.
왜냐하면 언어를 새로 만든다는 것은 그만큼 개발에 드는 자원이 만만치 않습니다.그리고 새로운 디자인 전용 언어를 개발하면서 기존에 있는 HTML과 상호연동이 될 수 있게 추가로 만들어야 되는 수고와 노력이 동반되는 과정입니다.그래서 실제로 글자 폰트나 색상을 변경하는 <font> 태그 등이 실제로 만들어 졌었습니다.하지만 태그를 통한 디자인은 결국 시간이 지날수록 코드를 지저분하게 만들고 오히려 많은 '웹페이지를 작성하고 관리할 때 효율성이 떨어진다'라는 것을 확인했습니다.그래서 다시 2번 '새로운 디자인 전용 언어를 개발하는 것'으로 선택지가 옮겨오게 되고 그렇게 개발된 언어가 CSS입니다.
지금은 조금 이해가 안갈 수 있지만, 다음 시간에 CSS를 사용하면 왜 효율적인지와 CSS의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CSS는 왜 효율적인가? (35) | 2020.04.20 |
---|---|
[HTML] 주석 처리하는 방법 (12) | 2020.04.20 |
[HTML] input태그 사용하기 - 웹페이지에서 정보 입력을 위한 태그 활용 (39) | 2020.04.16 |
[HTML] li 태그, ul 태그, ol 태그, dl 태그 사용하기 (13) | 2020.04.14 |
[HTML] p 태그, br 태그 사용하기 - 기능과 차이점 확인 (0) | 2020.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