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하는 기획자

반응형

파이썬 시작하기 - 사칙연산을 위한 기본연산자 사용

굉장히 오랜만에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하루에 못해도 30분. 1시간 정도 꾸준하게 시간을 내어서 포스팅을 해야지라고 마음먹었던게 바쁘다는 핑계로 정신없이 회사생활에만 몰두하다보니 어느새 포스팅을 작성하지 못한지가 한참이 지났네요.

 

그래도 이제 바쁜게 조금은 정리가 되어서 다시 블로그에서 포스팅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온 것 같습니다.

 

상반기에는 다시는 이런 시간이 안올줄 알았는데...(감격...!)

 

잡담은 여기까지만 하고, 지난 시간에 이어서 이번에는 사칙연산을 위해 파이썬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연산자라고 하면 수학시간에 많이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우리가 덧셈이나 뺄셈, 곱셈, 나눗셈을 할 때 가운데 들어가는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를 나타내는데요.

 

프로그래밍에서도 동일하게 변수 간의 연산을 수행하는 기능으로 프로그램이 연산을 할 수 있도록 연산자를 사용하게 됩니다. 

 

아마 지난 시간에 자료형을 활용할 때 다양한 숫자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아서 크게 다른 부분은 없지만, 그래도 추가되는 부분들과 다시 한 번 복습하는 형태로 집어보고 넘어가겠습니다.

 

 

사칙연산을 위한 연산자 종류

연산자 기능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
**, pow(x,y) 지수(거듭제곱)
// 나누기 결과의 몫
% 나누기 결과의 나머지

위와 같이 7가지 정도가 사칙연산과 간단한 계산을 위한 기본 연산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 4가지의 연산자에 대해서는 앞에서도 한번 확인해 보았고 이번에도 간단한 예제를 통해서 다시 확인해보겠습니다.

그리고 바로 이어서 아래에 3가지 연산자는 간단하게 코드를 통해서 결과를 확인하고 설명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사칙연산"

 

먼저 기본 사칙연산을 위한 예제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a = 5
b = 2

print(a+b) # 5 + 2 = 7 
print(a-b) # 5 - 2 = 3
print(a*b) # 5 * 2 = 10 
print(a/b) # 5 / 2 = 2.5

 

앞 시간에 변수를 배워보았으니 a와 b 라는 변수를 만들어 마음에 드는 숫자를 넣어주고 두 변수에 대한 사칙 연산을 진행해보겠습니다.

 

이렇게 쉽게 예상할 수 있듯이 우리가 알고 있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결과가 그대로 출력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위에 있는 표에서 아래 3가지 연산자들은 어떤 기능들을 가질까요?

 

 

"거듭제곱 연산"

 

바로 한 번 코드를 통해서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a = 5
b = 2

print(a*a)
print(a**b)
print(pow(a, b))

우리는 같은 숫자를 여러번 곱하는 것은 거듭제곱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곱하기 기호 2개를 이어서 사용하는 것은 앞에 변수를 뒤에 변수의 수만큼 반복해서 곱하라는 뜻을 가지는 거듭제곱 연산자입니다.

 

간단하게 표현을 하면 파이썬으로 A**b 라고 표현된 수식은 A라는 수를 b 번 곱하는 값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기능은 연산자를 사용해서 표현할 수도 있고 함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

pow(A, b)라고 사용하면 위에서 표현한 A**b와 같은 값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결과를 보면 쉽게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몫과 나머지 연산"

 

마지막으로 6, 7번째 연산자는 나누기에서 확장(?) 연장(?)된 연산자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연산자는 숫자를 나누고 난 뒤 몫의 값만 구하는 연사자이며, '%' 연산자는 나눈 뒤에 나머지 값을 구하는 연산자입니다. 역시 예제를 통해서 결과를 간단하게 확인해보겠습니다.

 

a = 5
b = 2

print(a/b) # 5 / 2 = 2.5
print(a//b) # 5 나누기 2의 몫 = 2
print(a%b) # 5 나누기 2의 나머지 = 1

 

그냥 일반적인 나누기 연산자를 사용하면 5에서 2를 나누면 2.5의 값이 나타납니다. 소수점까지 모두 계산해서 값을 구하게 되는 것이죠.

 

하지만 '//' 연산자를 사용하거나 '%'연산자를 사용하면 나누기 연산에 대한 몫 또는 나머지 값만을 구할 수 있습니다.

 

 

 

operator.py
0.00MB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
-->